인쇄용어? |
다원인쇄 2025-01-14 13:29:31 조회13 |
금박 금박은 금, 은 착색박(着色箔)을 대용품으로 얇게 펴서 철판이나 알루미늄판으로 압을 가하여 인쇄한다. (화장품, 영양제, 의약품, 캔들, 쿠키, 마카롱상자, 차 등 각종 제품 포장케이스 등)
지업사 지업사는 인쇄용 종이를 판매하는 곳이다. 제품용도에 따라 수백가지의 종이 재료가 있으며, 일반적인 분류별로 종이는 인쇄용지, 포장용지, 장식용지, 판지 등외에 다수 가 있다.
UV 인쇄 속성건조 방식으로 잉크의 뒷묻음이 적고, 단시간내 후가공 진행이 가능합니다. 옵셋인쇄보다 고비용(펄지, 트레싱지, 뒷묻음에 민감한 수입지, 두꺼운 판지 인쇄에 적합) 옵셋 인쇄 판으로 직접 피인쇄물에 인쇄를 하지 않고, 중개역할을 하는 고무블랭킷에 일단 전사인쇄 한 다음, 용지에 인쇄 하는 방법. 금속평판인쇄는 대부분 옵셋인쇄에 의해 인쇄되므로, 일반적으로 옵셋인쇄라고 하면 금속평판인쇄와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다. 1905년 미국의 루벨이 우연히 고무 블랭킷을 매개로 한 간접인쇄를 발명하여 옵셋인쇄 라고 명명하였다.
윤전인쇄 인쇄용지와 쇄판이 원통상태로 말려 있어 이 양자를 회전시키면서 인쇄하는 방식이다. 대량인쇄를 할 때 윤전인쇄 방식을 사용한다.
CTP 인쇄판 인쇄기에 걸기 위한 금속, PS판에 구워진 판
트리밍 사진을 확대할 때 윤곽을 결정하여 가장 조형적으로 아름답게 촬영 목적에 합치되도록 자르는 것과, 사진을 인쇄원고로 할 때 인쇄치수에 맞춰 원고 위에 윤곽을 지시하는 것을 말한다.
실크인쇄 실크인쇄는 비단이나 화학섬유의 천을 팽팽하게 하여 스크린으로 하고 그 위에 잉크를 부어 종이 또는 제품에 인쇄를 하는 것이다. 실크인쇄는 알루미늄, 제품, 아크릴, 상패, 원통형의 제품에 활용이 된다.
가늠표(돔보) 4도(4COLOR)혹은 2색 이상 인쇄할 때, 각 색판의 가늠을 잡기 위해 인쇄판 짧은 변 중앙에 가늠용 표를(보통 직교된 눈금으로 표시한다. +자의 선을 긋고 그 교차하는 지점을 맞춘다.) 삽입하는 것을 말한다.
가장(야레, 야레지/야리, 야리지) 인쇄나 제본 공정에 있어 손실이 날 수 있는 종이를 예측하여 사용량에 부가하여 준비하는 종이를 말한다. 인쇄 부수나 인쇄 방식에 따라 가장의 비율은 달라진다. 부수가 많을수록 가장의 비율이 낮으며, 부수가 적을수록 가장의 비율은 높아진다. 또 인쇄에 있어 인쇄판이(인쇄대수가) 많을수록 가장이 많이 들고, 적을수록 적게 든다. 예비지 또는 여분이라고도 한다.
국판(국전지) 636X939mm의 크기 용지이다. 4X6판과 함께 원래는 영국의 용지 규격치수였는데, 1880년대에 일본이 영국으로부터 종이를 수입하면서부터 일본의 종이치수의 기준이 되었다. 책자의 규격에 있어서는 52X218mm의 크기를 말한다.
돌려찍기(돈땡) 판을 앉히는 방법의 하나. 보통 양면 1페이지 혹은 2페이지 정도의 인쇄에서 인쇄용지에 앞판과 뒤판을 같은 판으로 인쇄한 다음, 반으로 자르면 동일 인쇄물이 인쇄용지 1장에서 2벌이 얻어질 수 있게 한판에 앉히는 방법이다. 보통 부수가 적은 인쇄에서 이 방법을 쓴다. 앞판과 뒤판을 따로 앉히지 않고 하나의 판에 양면을 같이 걸어 인쇄하므로 같이걸이라고도 한다.
루페(Lupe) 볼록렌즈를 사용한 확대경, 인쇄물이나 네거 또는 포지의 화선 혹은 망점을 검사하는데 쓴다. 10-20배의 것이 필요하다.
망점 연속계조가 있는 사진이나 일러스트를 인쇄물로 재현하기 위해 스크린을 건 제판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미세한 점을 망점이라 한다. 망점은 미세한 점의 집합에 의해 시각적으로 농담을 느끼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망점의 형상은 50%가 백과 흑의 바둑무늬로 되어있어, 이보다 조밀한 것은 흑안에 둥근 흰점이 45도의 각도로 배열되고, 50%이하에서는 이와 반대로 흰 바탕에 검은 망점이 줄 서 있다. 10%이하 또는 90%이상의 망점인쇄는 쉽지않다. 10%부근의 망점에서는 그 형상이 무너지기가 쉬우며, 원고가 지니고 있는 상태의 계조재현성이 인쇄에 있어서의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위해 보통의 원형 이외의 변형 망점을 쓴 스크린이 있는데, 이것을 체인 도트 스크린이라고 한다.
모아레 원어는 프랑스 말이지만 영국, 독일 그 밖의 나라에서 공통용어로 쓰인다. 스크린을 건 인쇄물의 망점은 2색 이상이 겹쳐 인쇄될 때 모아레 현상이 생긴다. 따라서 스크린을 2장 이상 쓸 경우에는 모아레를 최소한 줄이기 위해 스크린 각도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망점이 있는 인쇄물을 원고로 하여 복사하는 경우에도 모아레 현상을 일으켜 보기 흉한 반점 무늬가 된다.
베다 망을 쓰지 않고 잉크를 100% 올리는 것. 또는 그 부분. 다색인쇄에서 먹베다 부분에 시안, 마젠타 50% +먹100%로 하면 농도가 올라가고 인쇄효과가 좋아진다.
구아이 물림쪽, 물림여백, 물림몫 (인쇄기계에 종이가 물리는 부분)
하리 옆쪽, 옆기준선, 맞춤쪽, 옆쪽 (인쇄기계에 종이가 물리는 부분)
오도시 자투리 국지 자투리
시야게 마무리, 마무림
소부 빛쬠, 판만들기, 판굽기 (인쇄기에 거는 알루미늄 판을 만드는 과정)
쓰나기 이음, 이음매 도무송 따냄기, 타발기, 따냄작업 (두꺼운 종이를 여러 가지 모양으로 따는 기계)
조아이 장합 (책자의 제본과정에서 속장이되는 접장을 순서대로 포개는 것)
오리꼬미 접어넣기, 날개접기
베다인쇄 민인쇄, 바탕인쇄
시로누끼 백발, 희게빼기, 흰빼기
찌라시 낱장광고, 광고지
시끼리 보충감
돈보 가늠표, 기준점 (여러가지 색을 겹쳐 인쇄할 때 각 판의 가늠을 잡기 위해 인쇄판 4면 중앙에 직교된 눈금을 표시한 것)
세네카 책등 (마구리 반대쪽, 양장의 경우 둥근등과 모등으로 구분)
돈땡 같이걸이, 둘러치기 (1개의 판을 써서 한 장의 종이에 같은 판을 4면에 인쇄하는 방법)
혼가께 따로걸이, 본거리 (돈땡과 혼가께 혼동 주의)
중철 가운데매기 (표지 등에서 철사(스템플러)로 찍어매거나 미싱으로 박는 방법)
무선철 풀매기
하리꼬미, 대첩 터잡기, 판면배치, 판앉히기
사시꼬미 끼워넣기, 사이넣기
요꼬메(횡목) 가로결 (종이의 가로결)
다데메(종목) 세로결 (종이의 세로결)
네거티브 음화
포지티브 양화
도트 망점
다이 깔판
도베라(도비라) 속제목
구구리 테돌림
베라 매엽, 낱장
우라 뒷면, 안감
시와 구김살
오시 접을수 있도록 자국을 냄
가가리 엮음
시오리 가름끈
우찌누끼 눌러따냄기
기가다 목형
가다오시 형압
히끼바리(시끼바리) 끌어맞춤, 당겨맞춤
무끼바리 밀어맞춤
게쓰 물림밑쪽
아지로, 아지로매기 어살매기
하도메 쐐기, 구멍꿰매기
마끼도리 잉크세척
가미도리 추려쌓음
하시라 쪽머리글
구아이돈땡 물림쪽같이걸이
하리돈땡 옆쪽같이걸이 |